듀이십진분류법(KDC) 구성 및 사용법
듀이십진분류법 구성
듀이 십진분류법(DDC)은 도서관에서 책의 분류와 정리를 위해 사용되는 체계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1876년 미국 도서관장 멜빌 듀이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DDC는 총 10개의 대분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대분류는 100개의 소분류로 세분화됩니다. 대분류는 숫자 0부터 9까지의 숫자로 표시되며, 소분류는 대분류 다음에 덧붙이는 소수점과 두 자리 숫자로 표시됩니다.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철학: 인간의 존재와 인식에 대한 철학적 문제를 다룸
- 100 철학 이론
- 200 종교 철학
- 300 사회 철학
- 400 자연 철학
- 500 수학 및 논리학
- 600 의학 및 건강
- 700 예술
- 800 문학
- 900 역사 및 지리
2. 종교: 종교에 대한 문제를 다룸
- 200 종교 철학
- 220 성서
- 230 기독교 교리
- 240 독일 교회
- 250 프랑스 교회
- 260 미국 및 캐나다 교회
- 270 역사와 문화
- 280 기독교 부속 단체
3. 사회과학: 인간의 사회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다룸
- 300 사회 철학
- 310 통계학
- 320 정치학
- 330 경제학
- 340 법학
- 350 행정학
- 360 사회문제
- 370 교육학
- 380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 390 관습과 전통
4. 자연과학: 자연 현상과 과학적 연구를 다룸
- 400 자연 철학
- 410 수학
- 420 천문학
- 430 물리학
- 440 화학
- 450 지구과학
- 460 수학 및 자연과
듀이십진분류법 체계
듀이 십진분류법(DDC)은 문헌 및 도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류 체계입니다.
DDC는 대분류, 소분류, 서브분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분류는 숫자로 표현됩니다. 이 분류 체계는 10개의 대분류와 100개의 소분류, 그리고 1,000개의 서브분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DD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서 또는 문헌의 주제를 파악하고, 해당 분류에 대한 대분류와 소분류, 서브분류를 찾아야 합니다. 각 분류는 숫자와 소수점으로 표현되며, 대분류부터 순서대로 붙여져서 전체 코드가 완성됩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 관련 서적을 분류할 때는 대분류 5인 자연과학, 소분류 53인 물리학, 그리고 서브분류 012인 양자역학에 해당하는 코드인 530.012로 분류합니다. 이렇게 분류된 도서는 같은 분류에 속하는 도서와 함께 정리됩니다.
DDC를 사용하는 이유는 체계적인 문헌 관리와 검색을 위해서입니다. 분류 체계가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서나 문헌을 찾기 쉽고, 같은 주제의 자료들을 묶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DDC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DDC는 일부 주제에 대한 분류가 모호하거나 미흡한 예도 있기 때문에, 다른 분류 체계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DD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숫자로 표현된 코드를 외울 필요가 있어서, 사용자의 부담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도서관이나 정보기관에서는 DDC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해 설명서나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