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헌정보

도서관 장서관리 개념 및 범위

도서관 장서관리 의의와 개념

도서관 장서관리는 도서관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도서관의 장서관리는 도서관의 재정적인 한계, 이용자의 요구, 도서의 종류와 수량, 장소와 공간 등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계획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도서관 장서관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해왔습니다. 19세기에는 도서관의 역할이 학문적 지식의 보존과 전달에 중점을 둔 것이었기 때문에, 장서관리도 이에 맞게 도서의 수집과 보존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도서관의 역할이 대중화되면서 이용자의 요구도 다양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도서관은 독자들의 요구에 맞춰 도서를 선정하고, 대출을 통해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20세기 후반에는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도서관 장서관리 방법도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도서 정보를 카드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관리하였으나, 이후 전산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도서 정보를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전산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도서관의 장서관리 업무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이용자들도 도서의 검색과 대출 등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1세기에는 디지털화가 더욱 진행되어, 전자책과 같은 디지털 도서들이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서관 장서관리도 디지털 도서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도서관 장서관리의 범위

도서관의 장서관리 범위는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매 및 편입 관리: 도서관은 도서 구매 및 편입을 계획하고 이를 실시하는 것이 장서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입니다. 구매 대상 도서를 선정하고, 예산을 계획하며, 도서를 실제로 구매하여 편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저자명 및 서지정보 관리: 도서관은 편입한 도서들의 정보를 정확히 관리하여, 이용자들이 필요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도서들의 서지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분류기호 및 청구기호 등을 부여하여 도서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대출 및 반납 관리: 도서관의 장서관리에는 대출 및 반납 관리도 포함됩니다. 도서 대출 시스템을 운영하고, 대출 상황을 관리하여, 도서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대출 및 반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보존 및 폐기 관리: 도서관에서는 도서 보존을 위한 조치와 폐기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 도서의 수명을 연장하고,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더욱 유용한 도서들로 교체하고자 합니다.
인벤토리 및 재고 관리: 도서관은 도서 인벤토리를 수시로 업데이트하고, 재고 관리를 철저히 하여 이용자들이 필요한 도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손상 및 수리 관리: 도서관에서는 도서들의 손상 상황을 검사하고, 필요한 경우 수리나 복원 작업을 시행하여 도서의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자들이 불편함 없이 도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도서 재배치 및 폐기: 도서관에서는 이용 빈도가 낮거나, 낡은 도서들을 재배치하거나, 폐기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도서의 유지와 관리에 필요한 자원을 최적화하고자 합니다.